안녕하세요 spocify입니다.
어깨 복합체 4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견흉관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견흉관 절은 앞서 우리가 다룬 견쇄관절과 흉쇄관절과는 다르게 가짜관절이라고도 불리는데요
견흉관절이 왜 가짜관절인지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견흉관절은 어디에 위치할까요?
견흉관절은 견갑골과 흉곽사이에 위치해 있습니다.
흉곽과 견갑골 사이에는 실제로 뼈끼리 맞닿는 부분이 없습니다.
따라서
견흉관절은 진짜관절이라기보다는
생리학적 관절이라고 표현합니다.
위 사진은 견흉관절의 운동 형상학에 대하여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인체의 뒷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갈비뼈와 흉곽사이의 공간 속에서의 날개뼈의 움직임으로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견흉관절(ST joint) = SC joint(흉쇄관절)와 AC joint(견쇄관절)
견쇄관절과 흉쇄관절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로 움직임이 발생합니다.
견흉관절의 3가지 운동 형상학
1). 거상과 하강
2). 전인과 후인
3). 상방 회전과 하방회전
우선, 견갑골 거상 시 견흉관절의 움직임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어깨를 위로 으쓱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는 날개뼈는 위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때, 흉쇄관절의 경우 거상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견쇄관절의 경우 하방회전의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만약 견흉관절이 날개뼈를 밑으로 내리는 하강 동작 시에는
흉쇄관절은 반대로 하강의 움직임을 보여주고
견쇄관절은 상방회전의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거상과 하강은 흉쇄관절과 견쇄관절이 반대로 작용한다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이러한 두 관절의 상호작용이 결과적으로 흉쇄관절의 거상과 하강을 만들어냅니다.
다음은 견갑골 전인 시 흉쇄관절의 운동 형상학입니다.
인체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기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견갑골 전인 시에 견흉관절의 전인은
흉쇄관절과 견쇄관절의 수평면 회전의 합성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흉쇄관절은 전인을 하고 견쇄관절은 내회전의 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와는 반대로 후인 시에는
흉쇄관절은 후인을 하고 견쇄관절은 외회전을 하겠죠?
마지막으로 견갑골 상방회전 시 견흉관절의 운동형상학입니다.
견갑골의 상방회전은
흉쇄관절의 쇄골 거상 그리고 견쇄관절의 상봥회전으로 나타납니다.
반대로
견갑골 하방회전 시에는
흉쇄 관절의 쇄골 하강과 견쇄관절의 하방회전을 나타나게 되겠죠
이와 같이 견흉관절의 움직임이 잘 일어나려면
견쇄관절과 흉쇄관절의 움직임이 잘 일어나야겠죠?
견갑골의 경우 근육의 강화와 약화에 따라서 날개뼈의 위치가 변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날개뼈의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1). 거상의 움직임을 만드는 상부 승모근, 견갑거근
2). 전인의 움직임을 만드는 소흉근, 전거근
3). 후인의 움직임을 만드는 능형근, 중부승모근
4). 상방회전을 만드는 상부승모근, 하부승모근, 전거근
5). 하방회전을 만드는 견갑거근, 능형근, 소흉근
이 근육들의 적절한 강화와 스트레칭을 통해서 어깨 통증이나
등 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https://spocify.tistory.com/entry/뉴만-어깨복합체에-대하여-알아보자-어깨-복합체에-대한-모든것-shoulder-5-오목위팔관절-GH-joint
[뉴만] 어깨복합체에 대하여 알아보자! (오목위팔관절 GH joint편)(어깨 복합체에 대한 모든것) shoul
안녕하세요 spotify입니다. 어깨 복합체 마지막 시간입니다! 오늘은 상완골과 어깨뼈를 연결하고 있는 오목위팔관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은 오목위팔관절의 전제척인 외형
spocify.tistory.com